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98)
Free-OBD APP Skin Editor (스킨편집기) 이 글은 http://tindevil.com/site/blog/post/3762 에서 발췌하였습니다. 플랫폼 : .NET Framework 4 Free-ODB 는 없지만~ 다행이 장비없이도 이건 개발하는데 문제가 없는지라~.. (-중고 검색중 -_-;;;)(작은형의 요청 ^^;;)목적은 Skin Editor 입니다.. 기존의 스킨을 편집하는 용도이며 새로 만들려면 기존스킨을 복사해서 만들면 되겠죠?각 ID별로 설명은 우측의 id리스트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아이템을 더블클릭하게되면.. 위 화면처럼.. 개별 수정하는 화면이 표시됩니다.최초 스킨을 선택할때에는 스킨바로위의 폴더를 지정해주셔야하며.. 선택창의 [기본위치] 를 잡아주시면 아래에 선택가능한 스킨의 미리보기가 표시됩니다.더블클릭하면! 편집화면이 됩..
배터리 전압 안정기(LCF-200A) - 6dbaudio.lab 6dbaudio.lab 의 LCF-200A 에 대해서 써볼거에요~ 일단 이름에서 봐서 알수있듯이 200A까지 견디는거구요~ 알터(발전기) >> LCF-200A >> 배터리+ | 이런 구조로 연결이됩니다. 뭐 간단히 발전기에서 나온 전기를 안정화(?) 해서 배터리에 다시 넣어주는 장치입니다. 이론은 잘 몰라요.. (문과임 -_-) 알터에서 찾아가지고 적색에 연결하고 청색을 배터리(+)에 연결했습니다. 위 사진은 연결전의 상태이구요.. 연결한 후엔 그 격차가 많이 줄었습니다. 그래서!!! 뭐가 좋아졌냐구요? 아직 잘 체감은 못하는건지도 모르겠지만~. 가장 큰 차이는 악셀의 느낌이 달라졌다는 것과 언덕올라갈때 킥다운현상이 확실히 줄었다는거 ~ 스피커에서 나오는 노이즈음은..없어진건 아니지만 좀더 순화(?)됬구..
CNK-HUD 작동 영상
광주추천 웨딩스튜디오 43avenue (43에비뉴) 광주추천 웨딩스튜디오 43avenue (43에비뉴) 요즘들어 IT관련 포스팅만 하다가 다른 포스팅을 해봅니다. (자유포스팅 블로거!니까!) 웨딩홀과 플래너로부터 추천을 받은 곳인데.. 검색을 통해서 알아본 결과로서도 평이 좋아서 가보았습니다. [광주공원 맞은편 : 광주광역시 동구 불로동 43-17 : 062-222-4400] 포트폴리오 : http://www.avenuest.com/index.htm 43 Avenue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avenuest 주로 글 검색을 해보니 블로그쪽이 많이 검색되는군요. 포트폴리오는 플래쉬로 이뤄진 이미지스크롤링 사이트네요! 입구바로전의 사진입니다. 블랙&화이튼톤 장식이 되어있습니다. (체크무늬유리문 ㅎㅎ) 스튜디오니까 당연히 잘나온..
cnk-hud 테스트영상 cnk-hud 테스트영상 mk-1용 메인s/w에 지원하고잇는 현재 상태입니다. * 정지시 시간표시 * 이동시 km 표시 * 핸들리모콘 곡넘김,곡뒤로,mute,볼륨up-down,키에따른 메세지표시 (앞으로 더 많이 만들어야지~)
Labview : 폴더트리뷰(FolderView)를 소개합니다. 해당글은 아래 블로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tindevil.com/site/blog/post/3507
오토크루즈 작업 #2(계기판납땜) 원문보기 : http://tindevil.com/site/post/971 이전 크루즈작업이 기능의 활성화라면.. 이번작업은 작동여부를 계기판에 표시를 하는것입니다. ToP모델의 슈퍼비젼클러스터 계기판이 아닌경우라면 크루즈가 있습니다. (__); 어차피 수출용에 넣어줄것이엇으면 내수에도 넣어줄것이지.. 저렇게 기능은 더 쳐 넣어두고~ 국내이용자들에게는 ...쯧..역시 현기차. ㅋㅋ 나온지가 언젠데 13년산부터는 크루즈가 달려나와(..마치 신기술인것 마냥..) 쩝.... 일단 표시창은 있으니... LED와 LED용 저항을 납땜해야합니다. CRUISE 와 SET 두개의 LED가 필요하므로 저항도 2개가 필요합니다. 재료는 ICBANQ(http://www.icbanq.com)를 이용했습니다. 저항은 1k 썻다는..
[MK-1] 자동으로 전원 ON 시키는 방법 원문보기 : http://tindevil.com/site/post/929 자동으로 ON이안되니 여간 불편해서.. 릴레이를 쓸까 말까 고민을 많이 했는데요.. 오늘 CMOS 설정보다가 ^^ 운좋게 설정을 찾았네요;; 뭐 다른 기계더 설치할 필요없이 옵션만으로 조정이 가능합니다. PWRON After PWR-Fail 이값을 ON 해주시면됩니다.^^ 그러면 시동켜면 자동으로 켜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