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팅 순서가 좀 뒤섞였다..
사실 162보드를 먼저 만들었는데.. 프린터를 먼저 써버렸다..
162를 제작한 이유는 바로 교환간 atmega128때문이다.. 거금을 들여 구입을 했건만 제대로 작동을 안해서.
사람 환장하게 하니까.. 교환을 받았는데도 안되서 더 미치게하니. 그래 그럼 책보고 하나 만들자해서 만들어버렸다.
ISP인지 128인지.. 어느놈이 문제인지 정확히 알수있을테니까말이야..
회로도는... 없다.. 흠 책보 인터넷보고. 짬뽕시켰기때문에.. -_- tinyCaD라는 회로도 그리는걸 받아보았는데..
잘 못하겠다. -_- 차차 배워야지. 암튼 책있으신분은 책보고 하면될듯하다.
책과 좀 다르게 한거는...
크리스탈 16M 이 없어서 12M 으로 처리했따.(12는 있었다..)
크리스탈 세라믹콘덴서 22pf 가 없어서 20pf 로했다.
저항도 몇개 없어서 비슷한거 한거 같고.. 암튼 뭐 제대로 작동했으니...
아 포스팅 순서가 왜이런지 모르겠찌만.. 중간중간 과정을 찍지 않아서 바로 완성품 사진이 나온다. -_-
실 작업은 새벽에 주로 행했기떄문에 정신이 없었다.. 다행이도 이번 보드도 1번의 실패없이 바로 작동을 확인했었다.확인은 USB-ISP MKii를 통해서 했다. 고로.. isp는 문제가없고 128이 이상한걸로 간주하고 이 결과를 가지고
newtc 에 교환요청을 보낸거였다!!!!(하지만 교환품역이 안됬다!! 그래서 mkii랑 같이 보내달라고했고..난 LPT ISP를 만든것이다!!!!)
전원은 휴대폰 배터리를 사용하기로했다. 전압은 보는대로 3.7볼트.. 뭐 문제없이 잘 작동한다.. 난 잘 모르겠지만.
전압이나 전류량도 정확히 알고나서 써야할것 같다.. 일단은 되는대로 쓰기로했다. 휴대폰 배터리라서 그런지
충전도 하고 빼서 휴대용으로도 쓴다. ^^ 왠지 편하다 ㅎㅎ..
2pin 커넥터역시 128과 동일한것을 사용하고 162에도 같은 것을 달아놨다.. 같이쓰려고...
완성하고 전원넣으니 ..LED에 불이들어오는 느낌이...캬~~ 왠지 좋더라.. HW의 스릴인거 같다.
S/W는 잘못되면 지우고 다시하는맛이있는데..이건 납땜하고하느라. 다시하면 성질 버리고. 한방에되면 더 성취감이 큰거같다.
화면상의 10pin 수,암 1개씩은 pd0~pd8,GND,VCC 인데.. 책에서 나오는 led 표시창을 위해서 만들어놓았다.
수컷을 달아야하는 첨에 암컷을 달아버렸고.. 이것저것 맘에안들어서 두개 달았다. ㅠ_ㅠ.. 지저분해서 다시 떼지도 못하겠다.
아..부끄러운 뒷모습 -_-.. 그래도 처음 하는사람이 한거니.... ㅋㅋ 나름 만족..좀더 좋아지겠지..
사진순서도 엉망진창이다. 만든지 일주일이됬는데 이제와서 포스팅을 하니 사진도.. 영...
정말 난잡하다.. 설게도를 그릴줄 모르고 브레드보드테스트도 안했고 하니 일단 부품넣고 선맞추다보니 여기저기 점프선!
점점...지저분해지지만..작동하기 시작하고..
하고싶은게 현실화 되는것 같다...
사실 162보드를 먼저 만들었는데.. 프린터를 먼저 써버렸다..
162를 제작한 이유는 바로 교환간 atmega128때문이다.. 거금을 들여 구입을 했건만 제대로 작동을 안해서.
사람 환장하게 하니까.. 교환을 받았는데도 안되서 더 미치게하니. 그래 그럼 책보고 하나 만들자해서 만들어버렸다.
ISP인지 128인지.. 어느놈이 문제인지 정확히 알수있을테니까말이야..
회로도는... 없다.. 흠 책보 인터넷보고. 짬뽕시켰기때문에.. -_- tinyCaD라는 회로도 그리는걸 받아보았는데..
잘 못하겠다. -_- 차차 배워야지. 암튼 책있으신분은 책보고 하면될듯하다.
책과 좀 다르게 한거는...
크리스탈 16M 이 없어서 12M 으로 처리했따.(12는 있었다..)
크리스탈 세라믹콘덴서 22pf 가 없어서 20pf 로했다.
저항도 몇개 없어서 비슷한거 한거 같고.. 암튼 뭐 제대로 작동했으니...
불켜져있는 LED 옆의 철제가 크리스탈(12M) 자리이고 그 사이에 잘 안보이지만..
동근형태에 얍샵하게 생긴녀석이 20pf 세라믹콘덴서이다.. 잘보면 두개 달려있다.
크리스탈의 각 다리에 1개씩 달아주여야하는 것이다. 크리스탈 속도에따라서 달아주는용량이 틀리다고했는데.
어차피 속도도 12M 이고. 20~22이던 괜찮다는 글보고 20을 선택했다.(22도 없다..)
atmega162는 디바이스마스에서 구매를 했는데. 역시 멍청해서 ic소켓을 안샀다. -_- 이무슨... 하지만... 득템
바로 이런것을 찾았다... 다행이 핀수가 맞더라. (ㅠㅠ) 왼쪽위의 레버로 뺴고 넣고를 쉽게할수있다.
아마도 이것은 교육용 키트의 부품중 하나인듯하다.. 히히! 암튼 삽입만 하면되니까!! 이걸로 사용하기로했다.
(금남전자랜드가서 차후에 2개 구입을 했다. 개당 300원원?.. 하지만.. 다시 떼기귀찮아서 그대로 쓴다.!!!!)
아 포스팅 순서가 왜이런지 모르겠찌만.. 중간중간 과정을 찍지 않아서 바로 완성품 사진이 나온다. -_-
실 작업은 새벽에 주로 행했기떄문에 정신이 없었다.. 다행이도 이번 보드도 1번의 실패없이 바로 작동을 확인했었다.확인은 USB-ISP MKii를 통해서 했다. 고로.. isp는 문제가없고 128이 이상한걸로 간주하고 이 결과를 가지고
newtc 에 교환요청을 보낸거였다!!!!(하지만 교환품역이 안됬다!! 그래서 mkii랑 같이 보내달라고했고..난 LPT ISP를 만든것이다!!!!)
전원은 휴대폰 배터리를 사용하기로했다. 전압은 보는대로 3.7볼트.. 뭐 문제없이 잘 작동한다.. 난 잘 모르겠지만.
전압이나 전류량도 정확히 알고나서 써야할것 같다.. 일단은 되는대로 쓰기로했다. 휴대폰 배터리라서 그런지
충전도 하고 빼서 휴대용으로도 쓴다. ^^ 왠지 편하다 ㅎㅎ..
2pin 커넥터역시 128과 동일한것을 사용하고 162에도 같은 것을 달아놨다.. 같이쓰려고...
완성하고 전원넣으니 ..LED에 불이들어오는 느낌이...캬~~ 왠지 좋더라.. HW의 스릴인거 같다.
S/W는 잘못되면 지우고 다시하는맛이있는데..이건 납땜하고하느라. 다시하면 성질 버리고. 한방에되면 더 성취감이 큰거같다.
화면상의 10pin 수,암 1개씩은 pd0~pd8,GND,VCC 인데.. 책에서 나오는 led 표시창을 위해서 만들어놓았다.
수컷을 달아야하는 첨에 암컷을 달아버렸고.. 이것저것 맘에안들어서 두개 달았다. ㅠ_ㅠ.. 지저분해서 다시 떼지도 못하겠다.
아..부끄러운 뒷모습 -_-.. 그래도 처음 하는사람이 한거니.... ㅋㅋ 나름 만족..좀더 좋아지겠지..
사진순서도 엉망진창이다. 만든지 일주일이됬는데 이제와서 포스팅을 하니 사진도.. 영...
정말 난잡하다.. 설게도를 그릴줄 모르고 브레드보드테스트도 안했고 하니 일단 부품넣고 선맞추다보니 여기저기 점프선!
점점...지저분해지지만..작동하기 시작하고..
하고싶은게 현실화 되는것 같다...
'Information > MICOM & S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Atmega162] FND를 이용한 1~9까지의 숫자출력 (0) | 2012.01.15 |
---|---|
[Atmega162] LED 출력보드 만들기. (0) | 2012.01.14 |
Ponyprog 로 [Atmega162] 연결하기.. (0) | 2012.01.14 |
Printer ISP 제작 (2) | 2012.01.14 |
AVR 입문하다...(USB MK-ii , Atmega162, Atmega128) (0) | 2012.01.14 |